‘강릉호랭이’ 캐릭터 한지등 제작

강릉문화재야행의 마스코트인 강릉호랭이다, 강릉을 수호하는 동물 호랑이를 귀여운 악사로 표현한 ‘강릉호랭이’는 잠들어 있는 문화재를 깨우는 역할을 수행하고 작은 북을 치는 모습으로 강릉문화재야행의 행복과 풍요로움이 널리 울려 퍼지길 바라는 염원을 담았다고 한다. 강릉 농악 복장을 한 강릉호랭이는 강릉문화재야행의 캐릭터로 활용된다고 한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강릉호랭이” 캐릭터 이야기 강릉호랭이는 강릉의 대표적 동물인 호랑이를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예로부터 호랑이는 선악을…

‘관노가면극’ 한지등 제작

강릉문화재야행 강릉대도호부사 부임행차 재현을 위한 강릉관노가면극을 제작했다. 총 1세트 4점으로 관노가면극의 양반광대와 소매각시, 시시딱딱이, 장자마리 4점이다. 높이는 2m 정도이고 좀 더 역동적으로 연출하기 위해 재미있는 자세로 제작됐다. 관노가면극은 양반에 대한 신랄한 풍자나 저항의식보다는 단오제라는 제의를 중심으로 서낭제 가면놀이의 전통을 충실히 엿볼 수 있어 흥미로운 소재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관노가면극” 전통문화 이야기 관노가면극은 탈놀이로 춤과 동작을 위주로…

‘징과 장구’ 한지등 제작

사물놀이는 사물 즉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가지 악기놀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4가지 농악기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전통음악으로 바람과 번개와 구름, 그리고 비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서로 악기별로 대비되고 때로는 구분되면서 어울리고 경쟁하면서도 하나가 되고 싸워가면서 하나가 됩니다. 이처럼 사물놀이는 바람과 번개와 구름, 그리고 비의 어울림과 하나됨을 표현하는데 가장 한국적인 악기입니다. 이 중에서 장구와 징 한지등을 제작하였습니다. 가로…

‘포졸(수군)’ 한지등 제작

포졸은 사실 포도청에서 근무하는 군졸을 뜻하는 포도군사의 줄임말이다. 조선시대에는 포도청이 한성에만 2개 있었고, 나졸들은 일반 각 관아에 소속되어 있었다. 포졸은 경찰업무를 수행했지만 신분은 군인이므로, 헌병군에 더 가까웠다. 이번에 제작된 포졸은 수군으로 변형해 제작했으며 높이 2.0미터로 2점을 제작했으며 김홍도가 그린 부벽루 연회도에 등장하는 포졸을 모티브로 제작되었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포졸” 역사 이야기 조선시대의 군복은 색이 다양하게 바뀌기도…

‘재두루미’ 한지등 제작

재두루미는 두루미과의 조류로 1968년 5월 31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이번에 제작된 재두루미는 총 7점으로 가로 1.5.미터의 크기로 제작되었다. 또한 다양한 모습을 연출하고자 모양을 달리했으며 기본적으로는 날아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재두루미” 천연기념물 이야기 재두루미는 몸길이가 127cm의 대형 두루미다. 머리와 목은 흰색이고, 앞목 아랫부분 3분의 2는 청회색이다. 몸의 청회색 부분은 목 옆으로 올라가면서 점점 좁아져 눈…

‘저어새’ 한지등 제작

저어새는 전 세계적으로 5종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저어새와 노랑부리저어새 2종이 있다. 이번에 제작된 저어새는 4점으로 가로 1.5미터 정도의 크기로 다양한 모습을 연출했으며 기본적으로 날아가는 형태의 모습을 하고 있어 공간에 플라잉을 통한 연출이 편하다.   재미있는 등이야기 “저어새” 천연기념물 이야기 저어새는 멸종위기에 있는 희귀종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한편 저어새의 번식지가 남한에서는 최초로 1999년 7월 강화군 서도면…

2022 제3회 연제고분판타지 왕가의 행렬전 개최

부산 연제구는 제3회 연제고분판타지 ‘왕가의 행렬전’을 연다고 21일 밝혔다. 연제구는 ‘빛과 희망의 거칠산국 역사 속으로’를 주제로 25일부터 다음달 10일까지 행렬전을 열 예정이다. 온천천시민공원 수연교에서 세병교 방향으로 하나의 스토리를 따라 전시행사를 즐길 수 있다. 저녁 7시부터 밤 10시까지는 조명이 행사를 더욱 빛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관람객은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자전거와 킥보드는 입장할 수 없다. 구 관계자는 “이번 전시행사는…

‘어방놀이’ 한지등 제작

남해안 지방에서 후릿그물로 고기 잡는 과정을 엮은 민속놀이인 어방놀이, 그물 줄을 꼬아 만들 때의 내왕소리, 친 그물을 끌 때의 사리소리, 잡은 고기를 풀어 내릴 때의 가래소리와 풍어를 자축하는 춤과 노래로 구성된 부산 동래에 전하는 민속놀이의 하나입니다. 내왕소리와 사리소리, 가래소리, 그물 집기 노래, 칭칭소리의 순서로 놀이를 행하는 좌수영 어방놀이를 한지등으로 재현했습니다. 어방놀이는 국가 무형문화재 제62호로 부산의…

‘수영야류’ 한지등 제작

‘경상좌도수군절도사 행렬’은 조선시대 경상좌수영을 지휘한 정3품 무관 수군절도사를 중심으로 한 수군편제를 표현하였습니다. 매년 지역 축제의 장으로 큰 행사로 진행되었으나, 현재는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축제가 어려워진 상황을 반영하여 이렇게 야외공간 전시형태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전통행렬 전시를 통해 조선시대 수군조직을 이해하고 동, 남해안을 방어하였던 경상좌수영의 역사성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국가무형문화재 제43호로 수영구에 오랜 기간 전승되어 내려오고 있는 민속극…

2021 광안리어방축제 ‘경상좌도수군절도사 행렬’ 재현

광안리어방축제의 일환으로 전시되는 경상좌도수군절도사 행렬재현을 한지등으로 했습니다. 경상좌도수군절도사는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 중 하나로 해안 방어가 중요했던 경상도와 전라도, 함경도에는 3명을 경기도와 충청도, 평안도에는 2명을 황해도와 강원도에는 1명을 두었습니다. 하지만 도의 우두머리인 관찰사나 육군사령관격인 병마절도사가 수군절도사를 겸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실제로는 주로 남쪽 지방에만 수군절도사를 배치하였습니다. 임진왜란 중에 수군절도사들이 각각 따로 움직여 왜군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자 경상도와…